
미투운동 (Me Too) 내용출처 : 위키백과 ======================================================= 미투 운동(Me Too movement)은 성폭행이나 성희롱을 여론의 힘을 결집하여 사회적으로 고발하는 것으로,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2017년 10월 할리우드 유명 영화제작자인 하비 와인스틴의 성추문을 폭로하고 비난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 해시태그(#MeToo)를 다는 것으로 대중화되었다 한국의 미투 운동은 2017년 10월, 트위터에서 #오타쿠_내_성폭력 해시태그를 계기로 시작되었다. 2018년 1월 29일 현직 검사 서지현이 JTBC 뉴스룸에 출연해 검사장이었던 안태근의 성폭력 실상을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미투 운동이 본격적으로 대중에 알려졌다 뒤따라 연극..

유럽 무대에서 외교로 조선 독립을 알리다. 독립운동에 관한 역사,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 어디에서도 들어보지 못한 서영해 선생을 만났다. 우연한 기회에 소개받고 알게 된 정상천 작가에 대한 호기심으로 그분의 작품을 찾아보다가 만나게 된 책이다. 정상천 작가도 파리에서 공부하여 프랑스어로 된 책들을 번역하기도 한 터라 파리에서 독립운동을 펼친 서영해선생에 대해 각별한 애정이 있었을 것 같다. 사실 처음엔 소설인가 했다. '서영해' 오랜 세월 역사를 배우고 특히 우리나라 독립사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을 접해 왔지만 단 한번도 언급된 적이 없는 이름이다. 정상천 작가가 이전에 쓴 책에서 파리에서 활동한 서영해 선생에 대해 언급한 내용이 있었고 작가의 지인에게 전달된 책을 통해 서영해 선생의 친척과 연락이 닿아 이..

존 디디온, 그녀에게 푸른 밤은.. 하지를 전후한 몇 주간에 걸쳐 해질녘 어스름이 길고 푸르러지는 시기.. 뉴욕에서 살았던 그녀가 보고 느낀 그 시간이다. 그녀는 "이책의 제목을 푸른밤이라 지은 것은 쓰기 시작했을 당시 내마음이 갈수록 질병, 약속의 종말, 남은 날들의 감소, 쇠락의 불가피성, 빛의 소멸을 향해 다가가고 있음을 감지했기 때문이다." 라고 쓰고 있다. * 존 디디온과 그녀의 남편인 존 그레고리 딘은 1960년대부터 소설처럼 읽히는 저널리즘 "뉴 저널리즘"의 기수로 한시대를 풍미한 작가이다. 퀸타나에게 받친 책 그녀는 사고로 사랑하는 딸을 잃었다. 퀸타나는 그녀가 키운 딸이다. 비록 생물학적 부모는 아니었지만 딸을 아끼며 애지중지 돌보았고 많은 추억들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그녀는 말한다...

가족사를 통한 역사 조명 이 책은 한 개인의 역사 인식을 기반으로 전쟁의 역사와 죄의식에 대한 깊은 성찰을 이루어낸 기록이다. 일러스트레이터인 작가가 자신의 가족과 관련 된 이야기에 대해 인물, 장소 등 각종 단서들을 연결고리로 하여 설명글과 함께 사진, 그림 등을 배치하여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독일 하면 떠올리는 전쟁의 아픈 역사 히틀러가 일으킨 세계 전쟁과 그 이후 베를린 장벽에 가로 막혀 분단의 시기를 겪고 급기야 통일을 이루어낸 독일은 일본과의 청산하지 못한 과거사와 이후 냉전시대에 분단되어 여전히 휴전선을 안고 있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모범적으로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통일을 이룩한 부러운 나라이다. 독일인 작가 노라 크루즈 이 책을 쓴 작가는 1977년생으로 어쩌면 전쟁..